
세상에는 매우 다양한 형태의 저장장치들이 존재한다. 우리가 흔히 데스크톱이나 노트북에 장착하여 주 저장장치로 사용하는 하드 디스크, SSD 부터 시작하여 휴대가 간편한 USB도 있고, 음원과 같은 파일은 CD에 저장되기도 한다.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장치들은 각자의 파일들을 잘 유지하기 위해서 독자적인 파일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왜냐하면 각각의 장치들은 다른 방식으로 동작하고 있기 때문이다. 혹은 파일시스템이 워낙 다양하기 때문에 그렇다면 파일시스템이란 무엇일까? 파일시스템(FileSystem) 파일시스템은 간단하게 정의하면 '파일이나 자료를 쉽게 발견 및 접근할 수 있도록 보관 또는 조직하는 체제'이다. 즉 저장장치 내에 저장된 여러 개의 파일들을 고유하게 분류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고 각각을 읽고 ..

윈도우와 리눅스를 듀얼부팅하는 환경에서 아래와 같이 시간이 지속적으로 바뀌는 문제를 발견했다. 윈도우에서 시간을 알맞게 세팅하고 다시 리눅스로 들어오면 리눅스의 시간이 늦어져 있고, 리눅스에서 시간을 맞추면 윈도우에서 시간이 빨라져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이슈를 검색해 보고 해결한 결과를 포스팅하려고 한다.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 이는 윈도우와 데비안(리눅스)의 시간설정 방식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문제이다. 윈도우에서는 메인보드에 저장된 시간을 기본값으로 설정하는 반면, 리눅스에서는 GMT(Greenwich Mean Time)를 기준으로 메인보드의 시간과 현재 위치의 시차를 적용하여 시간을 설정하기 때문에 다르게 된다. 예를 들어 메인보드의 시간이 오전1시라고 했을 때, 윈도우는 이를 그대로 가져와서 오전1..
터미널에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때 가장 큰 장점으로 꼽히는 것중에 하나가 다중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잘 사용한다면, 일련의 작업들을 한 줄의 명령어로 작성하여 효율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리눅스에서 여러개의 명령어를 순차적으로 실행시키고자 할 때 구분자를 사용한다. 평소에 세미콜론을 많이 사용했었는데, 구분자의 종류가 여럿 존재하고, 각 구분자마다 특징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 각 구분자들은 현재 실행된 명령어의 성공여부에 따라 다른 동작을 하기도 하며, 앞의 실행결과를 뒤의 명령어의 실행의 데이터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아래에서 어떤 종류가 있는지 확인해 보고 각 구분자의 특징들을 짚어보자. 세미콜론(;) 세미콜론으로 각 명령어를 구분하게 되면, 단순하게 하나의 명령어 라인에..
우분투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때 apt-get 으로 설치가 되는 것도 있지만, 몇몇 어플리케이션들은 tar.gz파일처럼 리눅스 압축파일로 제공되기도 하고, 설치파일이 제공되어서 내가 설치 경로를 지정해 줘야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래서 그런 어플리케이션들을 설치할 때 어떻게 하면 좋을지 이 포스트에서 정리해보도록 하자. opt 우분투를 설치하면 루트폴더 아래 opt라는 폴더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 폴더는 처음에 아무것도 없는 비어있는 상태로 설치된다. 당연히 비어있을 수 밖에 없다. 왜냐하면, 이 폴더는 apt-get으로 제공되지 않는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경로이기 때문이다. 이 컴퓨터에는 위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이 opt폴더 아래에 설치되어 있다. 아마 저 google이라는 폴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