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눅스에는 터미널환경에서 사용가능한 다양한 텍스트 편집기가 있다. 그 중 대표적인 편집기로 vim이 있다. vim은 vi의 클론으로 vi의 기본적인 명령어를 그대로 계승하고, 거기에 사용자가 더 사용하기 쉽도록 여러 기능을 집어넣은 편집기로 이해하면 되겠다. vim의 가장 큰 특성은 .vimrc파일에 설정값을 넣어놓으면 그 설정값에 따라 편집기를 자유자재로 설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vimrc파일은 언제나 홈 디렉토리에 존재해야한다. 이 게시글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설명할 예정이다. 1. .vimrc 파일 생성하기 2. .vimrc 파일에 설정 값 넣기 지금부터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다. * 이 글에는 vi 편집기의 사용법에 대한 내용은 없습니다. 1. .vimrc 파일 생성하기 .vimrc 파일은 언..

vim에서 dd또는 yy로 복사한 텍스트를 크롬, 메모장, 워드와 같은 다른 프로그램으로 복사하고 싶을 때, 또는 외부에서 복사한 텍스트를 vim으로 복사하고 싶을 때 일반적으로는 동작하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vim은 os의 클립보드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 x11이라는 별도의 클립보드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복사를 할 때 시스템 클립보드에 넣고 뺄 수 있어야 한다. 아래의 순서를 따라가면 vim에서도 시스템 클립보드를 잘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작성된다. 1. 설치된 vim의 클립보드지원여부 확인 2. 클립보드를 지원하는 vim 설치 3. vim에서 클립보드로 복사하는 방법 4. system 클립보드를 기본값으로 사용하는 방법 1. 설치된 vim의 클립보드 지원여부..
먼저 GitHub의 기본적인 개념과 사용방법을 알고자 한다면 아래의 링크를 따라가 보는 것을 추천한다. [Git]Github 사용하기 http://hyoje420.tistory.com/37 큰 프로젝트를 진행함에 있어서 협업은 필수이다. 따라서 프로젝트를 생성한 프로젝트 마스터 이외에 다른 개발자들도 하나의 프로젝트에 대해서 업로드(Push), 다운로드(Pull)할 권한을 주고자 할 때 collaborators(협업자)를 추가해줘야 한다. Contributor vs Collaborator 뜻을 그대로 해석하자면 기부자와 협력자이다. 이는 각각 다른 의미를 가진다. Contributor는 프로젝트의 관리자는 아니지만, 한 프로젝트의 커밋에 관여하는 모든 사람을 Contributor라고 한다. Push권한은..
먼저 Git이라는 것은 리눅스의 창시자 리누스 토발즈에 의해서 만들어졌다. 이는 협업을 할 때, 버전관리를 편리하게 다룰 수 있도록 해주고, 프로젝트의 어떠한 부분도 겹쳐쓰지 않도록 관리해주는 버전관리 툴 중에 하나이다. 이 외에도 상당한 장점이 있지만 이정도만 적도록 하겠다. GitHub은 분산 버전 관리 툴인 Git을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웹호스팅 서비스이다. GitHub는 개인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유상 서비스와 오픈소스를 위한 무상 서비스를 모두 제공한다. 2009년의 Git 사용자 조사에 따르면 GitHub는 가장 인기있는 Git 호스팅 사이트이다. 또한 2011년의 조사에서는 가장 인기있는 오픈 소스 코드 저장소로 꼽혔다. 위 글은 위키백과에서 발췌한 글이다. 즉, 자신의 코드를 G..
우분투에서 작업하던 자바 프로젝트 파일을 압축하여 윈도우에서 프로젝트를 열었다. 그런데 이런 현상이 일어났다. 영어는 잘 보이는데 한글이 이상한 문자로 보이는 것이다. 그래서 이 해결방법을 찾아보니 인코딩 형식의 차이였다. 위 스크린샷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우분투에서는 기본적으로 텍스트 편집기의 인코딩 방식이 UTF-8로 지정되어 있었다. 그렇다면 윈도우에서 이클립스의 기본 텍스트 편집기의 인코딩 방식은 무엇일까? 위 스크린샷을 확인하면 알 수 있듯이, 윈도우 환경에서는 MS949방식을 기본으로 선택하고 있기 때문에 각 인코딩 방식의 차이로 한글의 표현방식이 달라서 한글이 깨져서 보이는 것이다. 이는 인코딩 방식을 동일하게 설정하주면 알 수 있다. UTF-8에 대하여 조금 더 알고 싶다면 아래 링크에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