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눅스에는 터미널환경에서 사용가능한 다양한 텍스트 편집기가 있다. 그 중 대표적인 편집기로 vim이 있다. vim은 vi의 클론으로 vi의 기본적인 명령어를 그대로 계승하고, 거기에 사용자가 더 사용하기 쉽도록 여러 기능을 집어넣은 편집기로 이해하면 되겠다. vim의 가장 큰 특성은 .vimrc파일에 설정값을 넣어놓으면 그 설정값에 따라 편집기를 자유자재로 설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vimrc파일은 언제나 홈 디렉토리에 존재해야한다. 이 게시글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설명할 예정이다. 1. .vimrc 파일 생성하기 2. .vimrc 파일에 설정 값 넣기 지금부터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다. * 이 글에는 vi 편집기의 사용법에 대한 내용은 없습니다. 1. .vimrc 파일 생성하기 .vimrc 파일은 언..

vim에서 dd또는 yy로 복사한 텍스트를 크롬, 메모장, 워드와 같은 다른 프로그램으로 복사하고 싶을 때, 또는 외부에서 복사한 텍스트를 vim으로 복사하고 싶을 때 일반적으로는 동작하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vim은 os의 클립보드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 x11이라는 별도의 클립보드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복사를 할 때 시스템 클립보드에 넣고 뺄 수 있어야 한다. 아래의 순서를 따라가면 vim에서도 시스템 클립보드를 잘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작성된다. 1. 설치된 vim의 클립보드지원여부 확인 2. 클립보드를 지원하는 vim 설치 3. vim에서 클립보드로 복사하는 방법 4. system 클립보드를 기본값으로 사용하는 방법 1. 설치된 vim의 클립보드 지원여부..